NFS 마운트 방법은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비슷한 과정(패키지 설치, 마운트 명령어 사용 등)을 거칩니다. 아래에 운영체제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1. Linux
1) Ubuntu/Debian
① NFS 클라이언트 설치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nfs-common
② NFS 마운트
- 즉시 마운트:예:
- sudo mount -t nfs 192.168.1.100:/srv/nfs/share /mnt/nfs
- 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 /마운트_위치
- **/etc/fstab**을 사용해 자동 마운트 설정:예:
- 192.168.1.100:/srv/nfs/share /mnt/nfs nfs defaults 0 0
-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 /마운트_위치 nfs defaults 0 0
③ 마운트 상태 확인
mount | grep nfs
2) CentOS/RHEL
① NFS 클라이언트 설치
sudo yum install nfs-utils
② NFS 마운트
- 즉시 마운트:예:
- sudo mount -t nfs 192.168.1.100:/srv/nfs/share /mnt/nfs
- 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 /마운트_위치
- **/etc/fstab**을 사용해 자동 마운트 설정:
-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 /마운트_위치 nfs defaults 0 0
③ 방화벽 설정(필요 시)
- 서버에 접근하려면 방화벽에서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.
sudo firewall-cmd --add-service=nfs --permanent sudo firewall-cmd --reload
④ 마운트 상태 확인
mount | grep nfs
2. macOS
NFS 클라이언트 기본 제공
macOS는 NFS 클라이언트를 기본 제공하므로 별도의 패키지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
① NFS 마운트
-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사용: 예:
sudo mount -t nfs 192.168.1.100:/srv/nfs/share /Volumes/nfs
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 /마운트_위치
② 자동 마운트 설정
- /etc/auto_master 파일 수정: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:
- /- auto_nfs
- sudo nano /etc/auto_master
- /etc/auto_nfs 파일 생성 및 설정: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:
- /Volumes/nfs -fstype=nfs,rw 서버_IP:/공유_디렉터리
- sudo nano /etc/auto_nfs
- 설정 적용:
- sudo automount -vc
3. Windows
Windows에서는 NFS 클라이언트 기능을 추가 설치해야 합니다.
1) NFS 클라이언트 설치
- 제어판 → 프로그램 및 기능 → Windows 기능 켜기/끄기로 이동.
- NFS 서비스 항목 활성화:
- "Services for NFS" 또는 "Client for NFS" 설치.
2) NFS 마운트
① 명령 프롬프트에서 마운트
- mount 명령어 사용:
예:mount \\서버_IP\공유_디렉터리 Z:
mount \\192.168.1.100\share Z:
- Z: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문자입니다.
② Windows 탐색기에서 마운트
- Windows 탐색기를 열고 "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" 클릭.
- 폴더에 \\서버_IP\공유_디렉터리 입력.
- "마운트 드라이브" 버튼 클릭.
4. 공통 명령어 요약
OS 설치 명령어 마운트 명령어 자동 마운트 파일
Ubuntu | sudo apt install nfs-common | 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 /마운트_위치 | /etc/fstab |
CentOS/RHEL | sudo yum install nfs-utils | 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 /마운트_위치 | /etc/fstab |
macOS | 기본 제공 | sudo mount -t nfs 서버_IP:/공유 /마운트_위치 | /etc/auto_master |
Windows | NFS 클라이언트 설치 | mount \\서버_IP\공유_디렉터리 Z: |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 UI |
이 방법들을 참고하여 운영체제별로 NFS를 쉽게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!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/1.0, HTTP/2.0, HTTP/3.0의 차이점과 발전 과정 (2) | 2024.12.04 |
---|---|
DNS 레코드 유형 (0) | 2024.12.04 |
HAProxy vs Nginx (0) | 2024.12.03 |
shadcn/ui 란? (2) | 2024.12.02 |
NPM 명령어 (0) | 2024.11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