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HTTP 서버 프레임워크 장단점 비교
프레임워크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
Flask | - 간단하고 배우기 쉬움 - 빠르게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 - 확장성이 뛰어남 - 풍부한 커뮤니티 지원 |
-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지 않음 - 기본 제공 기능 부족(ORM, 인증 등은 별도 라이브러리 필요) |
Django | - 풀스택 프레임워크(ORM, 인증 등 기본 제공) -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- 강력한 관리자 인터페이스 |
- 학습 곡선이 다소 가파름 - 초기 설정이 복잡할 수 있음 - 비동기 지원이 제한적 |
FastAPI | - 높은 성능(비동기 지원) - 자동 문서화(Swagger, ReDoc) - 타입 힌트를 적극적으로 활용 |
- 상대적으로 새로워서 일부 패키지 호환성이 제한적일 수 있음 - 완전한 풀스택이 아님(ORM 등은 별도 설정) |
Bottle | - 가볍고 단일 파일로 구성 가능 - 설정이 거의 필요 없음 |
- 확장성 부족 - 대규모 프로젝트나 복잡한 API 서버에 적합하지 않음 |
Tornado | - 비동기 네트워크와 WebSocket 지원 -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|
- 초심자에게는 학습이 어려울 수 있음 - 대규모 생태계와 라이브러리 부족 |
Sanic | - FastAPI처럼 고성능 비동기 지원 - 단순한 API 설계 |
- 커뮤니티와 생태계가 작음 - 문서와 라이브러리가 부족할 수 있음 |
CherryPy | - 최소한의 설정으로 작동 - 내장 HTTP 서버 제공 |
- 인기와 커뮤니티 지원 부족 - 복잡한 프로젝트에는 적합하지 않음 |
aiohttp | - 비동기 HTTP 클라이언트/서버 기능 - WebSocket 등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|
- 복잡한 설정 필요 - Django나 Flask보다 학습이 어렵고 기능이 제한적 |
정리된 선택 기준
요구 사항 | 추천 프레임워크 |
---|---|
소규모 프로젝트 또는 간단한 API 서버 | Flask, Bottle |
대규모 프로젝트 및 데이터베이스 중심 개발 | Django |
고성능, 비동기 API 서버 | FastAPI, Sanic, Tornado |
실시간 애플리케이션(WebSocket 등) | Tornado, aiohttp |
단순한 설정 및 빠른 시작 | Flask, Bottle, CherryPy |
이 테이블과 선택 기준은 Python HTTP 서버 프레임워크를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춰 비교 분석할 때 활용하기 좋습니다. 추가로 구체적인 비교를 원하시면 알려주세요!